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엔진의 구조 (3/3)

엔진의 구조를 알아보는 세 번째 글에서는 엔진의 나머지 핵심 부품들인 밸브기구, 캠축, 냉각 및 윤활 시스템, 그리고 흡배기 시스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자동차 엔진의 주요 구성 요소
자동차 엔진의 단면도

11) 밸브기구

밸브기구(Valve Mechanism)는 엔진 내의 가스 교환을 담당하는 중요한 시스템으로,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의 열림과 닫힘을 정확히 제어하여 엔진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오버헤드 밸브(OHV)

오버헤드 밸브(OHV, Overhead Valve) 방식은 밸브가 실린더 헤드에 위치하고 캠축은 실린더 블록에 위치하는 구조입니다. 캠축의 움직임이 푸시로드와 로커암을 통해 밸브로 전달되는 시스템입니다.

오버헤드 밸브 구조
오버헤드 밸브(OHV) 방식의 작동 원리 (출처: CAR with MC)
OHV 방식의 특징:
  • 장점:
    •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비용이 저렴함
    • 낮은 엔진 높이로 차체 설계 유연성 확보
    • 강한 저속 토크 특성
    • 정비가 용이함
  • 단점:
    • 부품이 많아 마찰 손실이 큼
    • 높은 RPM에서 밸브 제어 정밀도 감소
    • 푸시로드와 로커암의 질량에 의한 관성 한계
    • 밸브 타이밍 조절의 어려움

OHV 방식은 고전적인 엔진 설계 방식으로, 현대에는 주로 대형 V8 엔진이나 일부 산업용 엔진에서 사용됩니다.

(2) 오버헤드 캠축(OHC)

오버헤드 캠축(OHC, Overhead Camshaft) 방식은 캠축이 실린더 헤드 위에 위치하는 구조로, 캠이 직접 또는 로커암을 통해 밸브를 작동시킵니다.

오버헤드 캠축 구조
오버헤드 캠축(OHC) 방식의 구조 (출처: 모토야)

OHC 방식은 캠축의 수에 따라 SOHC(Single Overhead Camshaft)와 DOHC(Double Overhead Camshaft)로 나뉩니다:

구분 SOHC(Single Overhead Camshaft) DOHC(Double Overhead Camshaft)
캠축 배치 하나의 캠축이 흡/배기 밸브 모두 제어 독립된 두 개의 캠축이 흡기/배기 밸브를 각각 제어
구조적 특징 비교적 단순한 구조, 로커암 또는 팔로워 사용 복잡한 구조, 직접 작동 방식 많음
성능 특성 중저속 토크에 유리, 연비 효율 좋음 고회전 성능 우수, 다양한 밸브 타이밍 구현 가능
주요 적용 경제형 승용차, 일반 SUV 고성능 엔진, 스포츠카, 프리미엄 승용차

(3) 밸브 오버랩

밸브 오버랩(Valve Overlap)은 배기 밸브가 아직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흡기 밸브가 열리기 시작하는 시간 구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배기 가스의 관성을 이용해 신선한 혼합기의 유입을 돕고 실린더 내의 청소 효과를 높입니다.

밸브 오버랩
밸브 오버랩 시간대 (출처: CAR with MC)
밸브 오버랩의 영향:
  • 오버랩이 크면: 고회전 성능이 향상되나 공회전 안정성 저하, 저속 토크 감소
  • 오버랩이 작으면: 공회전 안정성 향상, 저속 토크 증가, 고회전 성능 제한

현대 엔진에서는 가변 밸브 타이밍(VVT) 기술을 통해 엔진 회전수와 부하에 따라 밸브 오버랩을 조절하여 전 구간에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합니다.

12) 밸브

밸브(Valve)는 실린더 내부와 외부 사이의 가스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로 구분됩니다.

(1) 밸브의 구비조건

엔진 밸브는 고온, 고압, 반복적인 충격에 노출되므로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1. 높은 열 내구성: 특히 배기 밸브는 700-800℃의 고온에 노출됨
  2. 내식성: 연소 생성물에 의한 부식에 저항해야 함
  3. 내마모성: 밸브 시트와의 지속적인 접촉에도 내구성 유지
  4. 열 방출 능력: 흡수한 열을 밸브 시트와 가이드를 통해 방출
  5. 치수 안정성: 고온에서도 형상 변화가 적어야 함
  6. 기계적 강도: 반복적인 충격과 스프링 압력에 견뎌야 함
  7. 밀봉 특성: 밸브 시트와 완벽한 밀봉 형성

(2) 밸브의 주요부

밸브는 다음과 같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성 요소 설명
밸브 헤드(Valve Head) 연소실과 접하는 원판 모양의 부분으로, 가스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
밸브 페이스(Valve Face) 밸브 헤드의 가장자리 경사면으로, 밸브 시트와 접촉하여 밀봉
밸브 스템(Valve Stem) 밸브 헤드에서 연장된 봉 형태의 부분으로, 가이드 내에서 직선 운동
밸브 팁(Valve Tip) 스템의 끝부분으로, 캠축이나 밸브 리프터와 접촉하는 부분
밸브 마진(Valve Margin) 밸브 헤드의 가장자리 두께로, 열 흡수 및 강도 확보
밸브 키퍼 그루브(Keeper Groove) 스템 상단의 홈으로, 밸브 스프링 유지기(keeper)가 장착되는 위치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는 작동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재질과 설계에 차이가 있습니다. 흡기 밸브는 주로 크롬 실리콘강으로 만들어지며, 고온에 노출되는 배기 밸브는 니켈 크롬 몰리브덴강이나 인코넬과 같은 내열합금으로 제작됩니다.

13) 캠축

캠축(Camshaft)은 크랭크축의 회전 운동을 밸브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정확한 타이밍에 밸브를 열고 닫는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캠축 구조
캠축의 구조와 주요 부분 (출처: VOLGEN POWER)

(1) 캠축의 재질 및 구성

캠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재질과 구성을 가집니다:

  • 재질: 주로 단조 또는 주철로 제작되며, 고성능 엔진에서는 경량화를 위해 할로우 구조나 복합 재료가 사용되기도 함
  • 표면 처리: 캠 로브와 저널 표면은 내마모성을 높이기 위해 경화 처리 또는 질화 처리됨
  • 캠 로브(Cam Lobe): 편심 형상의 부분으로, 밸브 개폐 타이밍과 리프트를 결정
  • 저널(Journal): 캠축이 베어링에 지지되는 부분
  • 스프로킷 장착부: 타이밍 체인이나 벨트가 연결되는 부분

캠 로브의 프로파일(형상)은 밸브의 개폐 타이밍, 개방 지속 시간, 최대 리프트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엔진의 용도와 성능 특성에 따라 다양한 프로파일이 설계됩니다.

(2) 캠축의 구동방식

크랭크축의 회전을 캠축으로 전달하는 방식은 다양하며,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구동 방식 특징 장점 단점
타이밍 기어(Timing Gear) 기어를 통한 직접 구동 방식 - 높은 신뢰성과 내구성
- 정비 필요성 낮음
- 타이밍 정확도 우수
- 소음 발생
- 무겁고 비용 높음
- 캠축 위치 제한
타이밍 체인(Timing Chain) 스프로킷과 체인을 이용한 구동 - 장수명
- 높은 하중 전달 능력
- 다양한 레이아웃 가능
- 소음 발생 가능
- 윤활 필요
- 체인 텐셔너 정비 필요
타이밍 벨트(Timing Belt) 고무 벨트와 풀리를 이용한 구동 - 저소음
- 경량
- 윤활 불필요
- 수명 제한(교체 필요)
- 스트레스에 취약
- 환경 조건에 민감

현대 엔진에서는 타이밍 체인이 가장 널리 사용되나, 소형 경제형 엔진에서는 타이밍 벨트가, 일부 고성능 엔진에서는 기어 방식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14) 냉각방식

엔진은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의 약 30~35%만을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고, 나머지는 배기와 냉각을 통해 방출됩니다. 적절한 냉각은 엔진의 성능과 내구성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엔진 냉각의 중요성:
  • 열응력 및 부품 변형 방지: 과열 시 부품 변형, 균열 발생 가능
  • 윤활 기능 유지: 과열 시 윤활유 점도 저하로 윤활 기능 상실
  • 노킹 방지: 과열된 연소실은 노킹의 원인이 됨
  • 차량 실내 냉방: 엔진 냉각수가 히터코어를 통해 실내 난방에도 사용됨

15) 엔진의 냉각방식

자동차 엔진에 사용되는 냉각 방식은 크게 공랭식과 수랭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공랭식 엔진

공랭식 엔진(Air-cooled Engine)은 주변의 공기를 이용해 직접 열을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실린더와 실린더 헤드 외부에 냉각핀을 부착하여 표면적을 넓히고, 팬을 이용해 강제로 공기를 순환시켜 냉각합니다.

공랭식 엔진의 특징:
  • 장점:
    • 구조가 단순하고 부품이 적음
    • 냉각수 누수나 동결과 같은 문제 없음
    • 중량이 가벼움
    • 공간 효율적
  • 단점:
    • 냉각 효율이 낮고 온도 제어 어려움
    • 소음이 큼
    • 균일한 냉각이 어려움(열점 발생 가능)
    • 환경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음

공랭식 엔진은 과거 폭스바겐 비틀, 포르쉐 911 등의 차량에 사용되었으나, 현재 자동차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주로 오토바이나 소형 엔진에 적용됩니다.

(2) 수랭식 엔진

수랭식 엔진(Water-cooled Engine)은 냉각수를 순환시켜 엔진의 열을 흡수하고 라디에이터를 통해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현대 자동차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냉각 방식입니다.

자동차 냉각 시스템
수랭식 냉각 시스템의 구조 (출처: 오토뷰)
수랭식 엔진의 특징:
  • 장점:
    • 효율적이고 균일한 냉각
    • 정밀한 온도 제어 가능
    • 소음이 적음
    • 높은 출력 밀도 달성 가능
  • 단점:
    • 복잡한 구조와 많은 부품
    • 누수 가능성
    • 동결 방지 대책 필요
    • 무게 증가

(3) 수랭식 냉각장치의 구조 및 기능

수랭식 냉각장치는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워터 자켓(Water Jacket): 실린더 블록과 헤드 내부에 형성된 통로로, 냉각수가 순환하며 열을 흡수합니다.
  2. 워터 펌프(Water Pump): 냉각수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펌프로, 보통 벨트나 체인을 통해 크랭크축에 의해 구동됩니다.
  3. 라디에이터(Radiator): 냉각수의 열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는 열교환기로, 얇은 튜브와 방열 핀으로 구성됩니다.
  4. 냉각팬(Cooling Fan):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을 강제로 만들어 냉각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전동식과 벨트 구동식이 있습니다.
  5. 서모스탯(Thermostat): 냉각수 온도에 따라 냉각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로, 엔진이 적정 온도에 빨리 도달하고 유지하도록 합니다.
  6. 팽창 탱크(Expansion Tank): 온도 변화에 따른 냉각수 부피 변화를 수용하고, 시스템 내 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7. 호스 및 연결부: 각 구성 요소를 연결하여 냉각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합니다.
  8. 냉각수(Coolant): 물과 부동액의 혼합물로, 열 전달 및 시스템 보호 기능을 담당합니다.

냉각수는 워터 펌프에 의해 실린더 블록과 헤드의 워터 자켓을 통과하면서 엔진의 열을 흡수합니다. 뜨거워진 냉각수는 라디에이터로 이동하여 공기 중으로 열을 방출하고 다시 엔진으로 순환합니다. 이 과정은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반복됩니다.

16) 윤활장치

윤활장치는 엔진 내부의 마찰 부분에 오일을 공급하여 마찰 감소, 냉각, 세척, 밀봉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엔진의 정상적인 작동과 수명 연장에 필수적인 시스템입니다.

엔진 윤활 시스템
엔진 오일의 순환 경로 (출처: CAR with MC)

17) 엔진오일의 작용과 구비조건

(1) 엔진오일의 작용

엔진오일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1. 윤활 작용: 금속 표면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마찰과 마모 감소
  2. 냉각 작용: 마찰열을 흡수하여 오일팬으로 전달함으로써 엔진 부품 냉각
  3. 세척 작용: 엔진 내부의 불순물과 찌꺼기를 오일 필터로 이동시켜 정화
  4. 밀봉 작용: 피스톤 링과 실린더 벽 사이의 틈을 메워 기밀성 향상
  5. 방청 작용: 금속 표면을 보호하여 부식 방지
  6. 완충 작용: 충격 및 진동 흡수로 부품 보호
  7. 산화 방지: 첨가제를 통한 오일의 산화를 방지

(2) 엔진오일의 구비조건

엔진오일은 다양한 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항목 요구 조건
점도 특성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가 적고, 저온에서 유동성 유지, 고온에서 적정 점도 유지
산화 안정성 고온에서도 산화 저항성이 높아 슬러지 형성 방지
내마모성 극한 압력 조건에서도 금속 표면을 보호하는 능력
청정 분산성 오염 물질을 부유 상태로 유지하여 엔진 부품에 침전되지 않도록 함
방청 방식성 금속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는 능력
기포 저항성 기포 형성을 억제하고 신속히 제거하는 능력
저탄화성 고온에서 탄화물 형성을 최소화하는 능력
내열성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인 성능 유지
밀봉 적합성 씰, 가스킷 등 밀봉재와의 호환성

현대 엔진오일은 기유(Base Oil)와 다양한 첨가제로 구성되며, API(미국석유협회) 또는 ACEA(유럽자동차공업협회) 등의 기준에 따라 등급이 분류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AE 점도 등급(예: 5W-30, 10W-40)은 오일의 저온 및 고온 점도 특성을 나타냅니다.

18) 엔진오일의 윤활방식

엔진오일의 윤활 방식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비산식

비산식(Splash System)은 가장 단순한 윤활 방식으로, 크랭크축과 커넥팅 로드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오일팬의 오일이 비산되어 엔진 부품을 윤활하는 방식입니다.

비산식 윤활의 특징:
  • 단순한 구조로 정비가 용이함
  • 비교적 낮은 비용
  • 펌프가 필요 없음
  • 윤활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음
  • 고부하 엔진에는 부적합
  • 주로 소형 엔진에 사용

(2) 압송식

압송식(Pressure System)은 오일 펌프를 사용하여 오일을 가압하여 엔진 각 부분으로 강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현대 자동차 엔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압송식 윤활의 특징:
  • 신뢰성 높은 오일 공급
  • 정확한 오일량 조절 가능
  • 모든 베어링 표면에 효과적인 윤활
  • 고출력, 고회전 엔진에 적합
  • 복잡한 구조와 높은 비용
  • 펌프 고장 시 윤활 중단 위험

(3) 비산압송식

비산압송식(Combined System)은 비산식과 압송식을 결합한 방식으로, 주요 베어링 부분은 압송식으로 윤활하고 실린더 벽, 피스톤 등 기타 부분은 비산식으로 윤활합니다.

비산압송식 윤활의 특징:
  • 효율적인 오일 사용
  • 중요 부위는 압송식으로 확실한 윤활
  • 보조 부위는 비산식으로 간단하게 윤활
  • 다양한 엔진 조건에 적응 가능
  • 중형 엔진에 적합한 방식

(4) 혼기식

혼기식(Mist System)은 오일을 미세한 입자 형태로 분무하여 엔진 내부 전체를 윤활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2행정 엔진이나 특수 목적 엔진에 사용됩니다.

혼기식 윤활의 특징:
  • 오일이 연료와 혼합되어 공급
  • 별도의 오일 순환 시스템 불필요
  • 엔진 구조 단순화
  • 환경오염 문제로 사용 제한
  • 정확한 오일/연료 비율 유지 필요
  • 주로 2행정 오토바이 엔진 등에 사용

19) 윤활회로의 구조와 기능

현대 자동차 엔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송식 윤활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오일팬

오일팬(Oil Pan)은 엔진 하부에 위치하여 엔진오일을 저장하는 용기입니다. 열 방출을 위한 방열 핀과 오일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오일 레벨 게이지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또한 오일 드레인 플러그를 통해 오일 교환이 가능합니다.

(2) 펌프 스트레이너

펌프 스트레이너(Pump Strainer) 또는 오일 픽업 튜브(Oil Pickup Tube)는 오일팬 내에 위치하여 오일이 펌프로 유입되기 전에 대형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친 메시 필터입니다. 오일 픽업 튜브의 끝에는 체크 밸브가 있어 엔진 정지 시 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3) 오일펌프

오일펌프(Oil Pump)는 오일팬에서 오일을 흡입하여 압력을 가해 윤활 회로로 공급하는 핵심 부품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유형이 사용됩니다:

펌프 유형 특징 장단점
기어 펌프
(Gear Pump)
- 두 개의 맞물린 기어가 회전
- 간단한 구조
- 신뢰성 높음
- 일정한 유량
- 소음 발생 가능
로터리 펌프
(Rotor Pump)
- 내부/외부 로터의 편심 회전
- 컴팩트한 설계
- 고효율
- 저소음
- 높은 압력 가능
베인 펌프
(Vane Pump)
- 로터에 장착된 슬라이딩 베인
- 가변 용량 가능
- 효율적인 유량 제어
- 부품 마모 발생 가능

오일펌프는 주로 크랭크축이나 캠축에 의해 구동되며, 엔진 회전수에 비례하여 오일 공급량이 증가합니다.

(4) 오일여과기

오일여과기(Oil Filter)는 오일 내의 미세한 금속 입자, 카본 찌꺼기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한 오일만 엔진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교체식 카트리지 타입이 사용되며,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주름진 여과 매체를 사용합니다.

오일 필터에는 다음과 같은 안전 장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바이패스 밸브: 필터가 막혔을 때 여과되지 않은 오일이라도 엔진에 공급되도록 하는 안전 장치
  • 안티 드레인백 밸브: 엔진 정지 시 필터 내의 오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 릴리프 밸브: 과도한 압력이 발생할 경우 오일을 우회시키는 장치

(5) 유압조절 밸브

유압조절 밸브(Oil Pressure Relief Valve)는 오일 압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과잉 오일을 오일팬으로 돌려보내 일정한 오일 압력을 유지하는 장치입니다. 고회전 시 과도한 오일 압력으로 인한 시스템 손상을 방지합니다.

유압조절 밸브의 작동 원리:
  1. 스프링에 의해 밸브가 닫힌 상태로 유지됨
  2. 오일 압력이 스프링 장력을 초과하면 밸브가 열림
  3. 과잉 오일이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오일팬으로 귀환
  4. 오일 압력이 감소하면 스프링 장력에 의해 밸브가 다시 닫힘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엔진 내부의 모든 마찰 부위에 적절한 양의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엔진의 성능과 수명을 보장합니다.

20) 오일의 색깔에 따른 현상

엔진오일의 색깔은 오일 상태와 엔진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오일 색깔에 따른 일반적인 현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검은색

검은 오일은 가장 흔한 사용 오일 색상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정상적 상태: 디젤 엔진에서는 연소 특성상 오일이 빨리 검게 변하는 것이 정상
  • 오일 산화: 고온에서 장시간 사용되어 산화된 상태
  • 불순물 축적: 카본 입자, 연소 부산물 등 불순물이 오일에 섞인 상태
  • 교체 시기 임박: 검게 변하고 점도가 증가했다면 오일 교체가 필요한 시기

(2) 붉은색

붉은색 오일은 다음과 같은 상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자동변속기 오일 혼입: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 오일(ATF)이 붉은색이므로, 엔진 오일이 붉게 변했다면 변속기 오일이 혼입된 것일 수 있음
  • 냉각수 혼합: 일부 부동액이 붉은색을 띠므로, 냉각수가 오일에 혼입된 것일 수 있음
  • 첨가제 효과: 일부 오일 첨가제가 오일을 붉게 만들 수 있음

(3) 회색

회색 오일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수분 혼입: 오일에 물이 혼입되어 유화된 상태
  • 금속 마모: 알루미늄 등의 금속 마모 입자가 오일에 섞인 상태
  • 엔진 과열: 극심한 엔진 과열로 인해 오일 성분이 변화

(4) 우유색

우유색 또는 유백색 오일은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는 신호입니다:

  • 냉각수 혼입: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실린더 헤드 개스킷 파손, 실린더 헤드 균열 등으로 인해 냉각수가 오일에 유입된 상태
  • 응축수 축적: 짧은 거리를 반복적으로 운행하거나 추운 날씨에 충분히 워밍업하지 않을 경우 수분이 응축되어 오일에 섞인 상태
  • 심각한 내부 누설: 엔진 내부에서 심각한 누설이 발생한 상태로, 즉각적인 정비가 필요

오일 색상 이외에도 오일 레벨, 점도, 냄새, 금속 입자 등을 함께 관찰하여 엔진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의심스러운 상태가 발견되면 전문가에게 정비를 의뢰하는 것이 좋습니다.

21) 흡배기 시스템

흡배기 시스템은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와 연료 혼합물을 실린더로 공급하고, 연소 후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엔진의 성능, 효율성, 배기 가스 정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스템입니다.

(1) 공기청정기(에어크리너)

공기청정기(Air Cleaner)는 엔진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이물질을 걸러내어 엔진 내부 부품의 마모를 방지하고 연소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공기청정기의 주요 구성 및 특징:
  • 필터 엘리먼트: 주름진 종이, 직물, 폴리우레탄 폼 등의 여과 매체
  • 하우징: 필터 엘리먼트를 보호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케이스
  • 커버: 손쉬운 정비를 위해 탈착 가능한 구조
  • 관련 센서: 일부 차량에는 공기유량, 온도, 압력 센서 장착

현대 자동차에는 주로 페이퍼 타입과 드라이 타입 에어필터가 사용되며, 고성능 차량에는 오일을 함침한 코튼 필터나 스펀지 필터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공기청정기는 주기적인 점검과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입니다.

(2) 흡기다기관

흡기다기관(Intake Manifold)은 공기청정기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각 실린더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현대 엔진에서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부품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흡기다기관의 역할과 특징:
  • 각 실린더에 균일한 공기/연료 혼합물 공급
  •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속도 최적화
  • 공기의 와류(Swirl)와 텀블(Tumble) 형성으로 연소 효율 향상
  • EGR(배기가스 재순환) 시스템과 연동
  • 다양한 센서 장착(MAP, IAT 등)

흡기다기관은 알루미늄 합금, 플라스틱(나일론) 등으로 제작되며, 최근에는 경량화와 결로 방지를 위해 복합 플라스틱 소재가 많이 사용됩니다.

(3) 가변흡기시스템

가변흡기시스템(Variable Intake System)은 엔진 회전수와 부하에 따라 흡기 포트의 길이나 단면적을 변화시켜 흡기 효율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입니다.

가변흡기시스템의 종류와 특징:
  • 가변 길이 흡기관(VLIM): 흡기관의 길이를 변경하여 공명 효과를 최적화
    • 저속: 긴 흡기관으로 토크 증대
    • 고속: 짧은 흡기관으로 유량 증대 및 출력 향상
  • 가변 흡기 밸브(VICS, ACIS): 흡기 포트 내부에 추가 밸브를 두어 공기 흐름 제어
  • 가변 단면적 흡기관: 흡기관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공기 속도와 와류 최적화

가변흡기시스템은 전 회전 영역에서 최적의 토크와 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연비와 배기가스 저감에도 기여합니다.

(4) 배기다기관

배기다기관(Exhaust Manifold)은 각 실린더에서 배출되는 연소 가스를 모아 배기 파이프로 전달하는 통로입니다. 고온의 배기가스를 처리하므로 내열성이 중요합니다.

배기다기관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질: 주로 주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고성능 차량에는 인코넬 등 특수 합금 사용
  • 구조: 각 실린더의 배기 포트에서 시작하여 하나의 관으로 합쳐지는 형태
  • 배기 펄스: 배기 파장의 최적화를 통해 실린더 소기 효율 향상
  • 열 관리: 열 방출 방지를 위한 열차폐재, 일부 차량에는 배기다기관 내장형 촉매 장착

고성능 엔진에는 배기 흐름을 최적화한 헤더(Header) 형태의 배기다기관이 사용되기도 합니다.

(5) 소음기

소음기(Muffler)는 배기 시스템의 마지막 부분으로, 배기 가스가 방출될 때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배압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소음기의 작동 원리:
  • 반사형(Reflective): 내부 격벽을 이용해 소리 파장을 반사시켜 상쇄
  • 흡수형(Absorptive): 유리섬유나 강모 같은 흡음재를 사용하여 소음 감소
  • 복합형(Hybrid): 반사형과 흡수형을 결합한 방식
  • 공명형(Resonator):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공명을 통해 제거

소음기는 소음 감소와 함께 적절한 배압을 유지하여 엔진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나치게 낮은 배압은 출력 손실을, 지나치게 높은 배압은 연비 저하와 출력 감소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현대 차량에는 환경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해 배기 시스템에 다양한 정화 장치(삼원 촉매, DPF, SCR 등)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배기 시스템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결론

지금까지 자동차 엔진의 구조에 대해 열기관부터 흡배기 시스템까지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엔진은 수많은 부품들이 정밀하게 설계되고 조립되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복잡한 기계 시스템입니다.

자동차 엔진의 발전 과정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효율 향상의 역사였으며, 앞으로도 환경 규제 강화와 사용자 요구 증가에 따라 계속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특히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의 확산에 따라 내연기관의 역할과 설계도 변화하고 있습니다.

엔진의 기본 원리와 각 부품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자동차를 더 깊이 이해하고 적절히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지식은 차량 진단, 정비, 튜닝은 물론 구매 결정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자동차의 다른 주요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이나 의견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